WEB
-
JavaScriptWEB 2020. 11. 13. 17:33
- 자바스크립트의 버전은 ECMAScript(ES)에 따라 결정됨. 스코프(Scope) -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. 전역 스코프와 지역 스코프 있음. - 변수 var, let, const로 선언할 수 있음. - 연산자 - 수학연산자 +,-,*/,% 등 있음. - 논리연산자, 삼항연산자, 관계연산자 등 있음. - 자바스크립트의 Type은 선언할 때가 아니고, 실행할 때 결정됨. 함수 - 여러개의 인자를 받아서 그 결과값을 출력해줌. - 파라미터와 인자의 개수가 달라도 출력되고, undefined로 설정됨. - 파라미터보다 많은 인자 있으면 arguments로 전달할 수 있음. - 재귀적으로 함수 사용하게 되면 CallStack에 쌓였다가 하나씩 나옴. 호이스팅(Hoisting) - 인터프리터가 코드를..
-
JSP, ServletWEB 2020. 11. 9. 17:14
JSP(Java Server Pages) - 자바를 이용한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. - HTML내에 자바 코드를 삽입하여 웹 서버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. Servlet - 서버에서 웹페이지 등을 동적으로 생성하거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자바로 작성된 프로그램 - 자바 코드안에 HTML 코드가 삽입되며 .java 확장자를 가짐 -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아야함 Servlet 3.0에서의 변화 - web.xml 파일에서 url을 맵핑하는 대신 @WebServlet Annotation을 이용하여 url 맵핑을 설정 할 수 있음. Servlet 주소 http://localhost:8080/[프로젝트명]/[URL Mapping] Servlet 생명주기 1. 요..
-
브라우저 동작원리WEB 2020. 11. 4. 14:03
브라우저 - 사용자가 서버에 요청하여 전송받은 데이터를 표시 브라우저 구조 1. UI : 주소창, 버튼 등 요청한 페이지 제외 다른 모든 부분. 2. Browser Engine : UI와 렌더링 엔진 사이의 동작 제어. 3. Rendering Engine : 요청한 콘텐츠 (ex> HTML, CSS) 파싱하여 화면에 표시. 4. Networking : HTTP 요청 등 네트워크 호출에 사용. 플랫폼 독립적 인터페이스. 5. UI Backend : 기본적인 위젯이나 콤보 박스, 창 등을 그리는데 사용. OS의 UI 메서드 사용. 6. JavaScript Interpreter :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파싱하고, 실행. 7. Data storage : 쿠키나 다른 데이터 등을 저장 할 때 사용. 렌더링 엔진 동..
-
HTTPWEB 2020. 11. 3. 20:38
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. Server / Client 모델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에서 요청에 응답 HTTP는 Stateless 하게 통신하여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음. - 이전에 했던 통신의 내용 저장 x. - 최대 연결 수 보다 많은 연결 처리 할 수 있음. - 한계 극복하기 위해 세션과 쿠키 사용. 연결과정 1.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TCP 연결 시도 2.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 전송 ex) 요청문 (GET /main.html HTTP/1.1 - 메서드 / URI / 프로토콜 버전) 헤더 바디 3.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답 전송 4. 연결 해제